1편 (Scale-Up / Scale-Out이란?)
hyuntaeknote.tistory.com/4?category=867120
다중 서버 환경에서 Session은 어떻게 공유하고 관리할까? - 1편 (Scale-Up / Scale-Out이란?)
개요 지난 시간 세션과 쿠키를 이용한 로그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로그인 기능 개발을 들어가기 전에 생각해볼 문제가 생겼습니다. 현재 프로젝트의 사용자가 많
hyuntaeknote.tistory.com
2편(Sticky Session, Session Clustering, Session Storage 분리)
hyuntaeknote.tistory.com/6?category=867120
다중 서버 환경에서 Session은 어떻게 공유하고 관리할까? - 2편(Sticky Session, Session Clustering, Session St
개요 지난 시간에 서버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두 가지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그중 스케일 아웃을 하면 여러 대의 서버가 각각 세션 저장소를 독립적으로 갖게 되므로 정합성 이슈가 발생
hyuntaeknote.tistory.com
3편 (Disk based database vs In-Memory database)
hyuntaeknote.tistory.com/7?category=867120
다중 서버 환경에서 Session은 어떻게 공유하고 관리할까? - 3편 (Disk based database vs In-Memory database)
개요 지난 시간 다중 서버 환경에서 별도의 세션 스토리지를 구성하여 정합성 이슈를 해결하기로 하였습니다. 여기서 생각해볼 문제가 있습니다. 웹 서비스의 특성상 대부분의 요청은 인가된
hyuntaeknote.tistory.com
4편(Redis vs Memcached)
hyuntaeknote.tistory.com/8?category=867120
다중 서버 환경에서 Session은 어떻게 공유하고 관리할까? - 4편(Redis vs Memcached)
개요 지난 시간 세션 저장소로 In-Memory Database를 사용하기로 하였습니다. 하지만, In-Memory Database에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들이 존재합니다.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는 저장하는 데이터의 형태 및
hyuntaeknote.tistory.com
'최신기술 포스팅 링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Coding Interview|구글 신입 엔지니어 인터뷰 준비 후기 (0) | 2021.01.01 |
---|---|
Docker를 사용한 Vue - Flask 개발서버 작성 (front-back 연동) (0) | 2020.12.30 |
Announcing Spring Cloud Data Flow for Kubernetes (0) | 2020.12.30 |
GitHub 신규기능 (0) | 2020.12.30 |
SpringBoot + H2 Database + JPA (0) | 2020.12.30 |
네이버 메인 페이지의 트래픽 처리 (0) | 2020.12.30 |
kafka exactly-once delivery를 지원하기 위한 transaction (0) | 2020.12.30 |
Kotlin과 Spring WebFlux 기반의 컨텐츠 인증 서비스 개발 후기 (0) | 2020.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