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icky bit
chmod 1777 [디렉토리] |
해당 권한이 설정되어 있는 디렉토리는 모든 유저가 파일을 생성하고 삭제하는 것이 자유롭다. 다만 삭제시에는 파일을 생성한 소유주와 관리자만 삭제 권한을 가진다. |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tmp 디렉토리를 보면 허가권 맨 뒷부분이 x -> t로 변경되어 있는데 이는 Sticky bit가 설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대문자 T는 x 권한이 없음을 의미)
SetUID
chmod 4755 [파일] |
해당 권한이 설정되어 있는 파일을 실행할 경우 이 파일의 소유자 권한을 가진다. |
SetGID
chmod 2575 [파일] |
해당 권한이 설정되어 있는 파일을 실행할 경우 이 파일의 그룹 권한을 가진다. |
허가권의 User 부분을 보면 x -> s로 변경되어 있는데 이는 SetUID 설정이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SetGID도 같은식으로 보여진다. (대문자 S는 x권한이 없음을 의미)
UMASK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생성될 때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사용권한 값을 의미한다.
디렉토리의 최대값 (777) - UMASK (022) = 디렉토리 생성시 기본 권한 값 (755)
파일의 최대값 (666) - UMASK (022) = 파일 생성시 기본 권한 값 (644)
'UNIX&LINUX > LINUX명령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명령어 모음 (0) | 2015.12.02 |
---|---|
vi set number 넘버 보이기 (0) | 2014.10.15 |
[useradd] linux 유저생성하기 (0) | 2014.08.28 |
[Linux] 사용자 계정 추가/삭제 (0) | 2014.08.28 |
tar 압축 (0) | 2014.07.17 |
리눅스에서 bash 에서 source 명령어가 어떤 의미인지.. (0) | 2014.07.17 |
bash에서 파일 include 시키기 (source 명령어) (0) | 2014.07.17 |
리눅스 파일 내용에서 특정 문자 찾기 && 변경파일 찾기 find rdate exec (0) | 2014.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