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ls -al 을 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rwxrwxrwx 1 id id 20 2012-12-27 15:52 test.txt
여기서 파란색 부분이 권한 부분이다.
참고로 -rwx-wx-r--(접근허가) 1(링크수) id(소유자) id(소유그룹)
앞의 -를 제외 하고, rwx 가 3번이 반복된다. r-x이런식으로 나올 수도 있다.
맨 처음 d(directory) 는 이것이 파일/디렉토리인지 구분해 주는 것이다.
그리고 뒤에 3번 반복되는 3개의 글자는 각각 다음의 뜻을 가지고 있다.
r(readable)
w(writeable)
x(executeable)
그리고 3번 반복 되는 이유는
각각 나의 권한, 그룹에 대한 권한, 모두에 대한 권한을 각각 따로 주기 때문이다.
ls -al 을 했을때 다음과 같이 나타난 다면
-rwx rwx rwx
Me,User(나) Group(그룹) Others(모든 이들)
파일을 나타내며, 나, 그룹, 다른 사람들에게 읽고 쓰고 실행하는 권한을 준다는 의미임.
drwx --- ---
Me,User(나) Group(그룹) Others(모든 이들)
파일을 나타내며, 나, 그룹, 다른 사람들에게 읽고 쓰고 실행하는 권한을 준다는 의미임.
파일/디렉토리에 사용 권한을 주고 싶다면 chmod(change mode) 명령어를 주면 된다.
파일/디렉토리에 소유권을 변경하고 싶다면 chwon 명령어를 사용한다.
특정 파일은 특정 디렉토리에 포함되어 있듯이, 유저도 특정 그룹에 포함되어 있다.
0~7까지 표현 가능.
chmod 777을 누르면 모두 읽고 쓰고 접근 가능하게 된다.
chmod 는 8진수를 이용하여 바꾸고 있다.
rwx(3자리) --> 8진수이고, rwx가 3개 이므로 8진수를 쓰게 된다.
순서대로 User Group Others이다.
[출처] Linux : 리눅스 파일 권한에 대해서 chmod, chown|작성자 사자마음
'UNIX&LINUX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사용하는 VI에디터 단축키 (0) | 2014.04.23 |
---|---|
vi 명령 노트 (0) | 2014.04.23 |
ntpdate 시간 설정 (0) | 2014.04.02 |
nohup 사용 방법 (0) | 2014.04.02 |
리눅스 기본 03 - 리눅스 설치 후 기본 세팅, 디렉토리 (0) | 2014.03.10 |
OS별 리눅스 비트(bit) 확인하기 (0) | 2014.03.06 |
로그 시스템 (System Log ) 연구 (0) | 2014.02.25 |
리눅스 LANG설정 (0) | 201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