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그룹생성 과 그룹내 유저생성
리눅스 그룹생성 과 그룹내 유저생성
하는법이며 umask를 사용하면 그룹에 실행과 쓰기 권한을
자동으로 부여 할 수 있다.
그룹명 : aaa 계정명 : bbb
# groupadd aaa (그룹 만들기)
# useradd -D (홈디렉토리 위치 확인 : 대문자)
# user -g aaa -d /home/bbb -m bbb (bbb 유저 생성)
퍼미션 조정명령 umask
# umask (설정된 값 보기)
# umask -5 (umask 의 설정값을 화면에 문자로 확인할 수 있다)
umask 명령은 새로운 파일이나 허가권지정 명령어이다.
일반파일의 경우 666,
디렉토리의 경우 777 에서 umask 값을 뺀 값을 기본 허가권으로
조정한다.
예) umask 가 0022 인경우
일반파일 777 - 022 = 755 ,
디렉토리 666 - 022 = 644 가 되겠음
그러니까 umask 셋팅값을
# umask 022 (로 지정을 하면 된다)
만일
일반파일 775,
디렉토리 664 권한이라면
# umask 002 (로 지정하면 된다)
이렇게 하게되면 사용자가 파일이나 디렉토리 생성시 원하는대로
권한 조정이 된다.
문자로 umask를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umask u=rwx,g=rw,o=rw
그룹내 유저의 디렉토리 퍼미션은 701이면 된다.
퍼미션 조정은 chmod 임
# chmod 707 bbb (-R 옵션을 사용할경우 하위 디렉토리까지 모두 변경된다)
그룹내 유저를 만들었다면
권한도 줘야할것이다 권한은 chown 이다.
# chown 사용자:그룹명 bbb (이렇게 된고 -R 옵션을 사용할경우 하위 디렉토리까지 변경된다)
음....이상.